티스토리 뷰
1️⃣ 왜 구글·애플·페이스북에 사망 사실을 알리는가? 방치 시 위험
(키워드: 사망자 계정 방치, 디지털 사망 선언, 개인정보 유출)
현대인의 디지털 자산은 대부분 구글, 애플,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 저장된다.
이메일, 클라우드, SNS, 유튜브, 사진, 메모 등 수많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,
사망 이후에도 이 계정들은 자동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.
이 때문에 가족이 **사망 사실을 공식적으로 알리고 계정을 정리하는 ‘디지털 사망 선언’**이 필수가 되었다.
✅ 사망 사실 미신고 시 위험
- 개인정보 유출: 클라우드, 이메일 내용 노출
- 계정 해킹 → 사망자 사칭 및 금전 피해
- 유튜브·애드센스 수익 정지 → 자산 손실 및 삭제
- 정서적 충격: SNS에 사망자 활동 흔적 지속 노출
📌 디지털 사망 선언의 필요성
- 가족 보호: 개인정보 유출 차단
- 자산 보호: 수익 계정 정산 및 정리
- 사회적 피해 예방: 사칭, 사기 방지
결론: 사망 후에도 계정이 남아있는 현실 속에서
가족이 사망 사실을 플랫폼에 공식 신고하고 계정을 정리하는 디지털 사망 선언은 필수적인 대응이다.
2️⃣ 구글에 사망 사실 알리기: 비활성 계정 관리자와 수동 신고 절차
(키워드: 구글 사망 신고, 비활성 계정 관리자, Gmail 계정 삭제)
구글은 사망자 계정 관리를 위한 자동화 기능과 수동 신고 절차를 모두 제공한다.
생전에 설정해두면 자동으로 데이터 삭제 또는 전달이 가능하고,
미설정 시 가족이 직접 사망 신고와 계정 삭제 요청을 해야 한다.
✅ 방법 ① 비활성 계정 관리자 설정 (사망 전 대비)
- 구글 계정 로그인 → 계정 관리
- ‘데이터 및 개인정보’ → 비활성 계정 관리자 설정
- 미접속 기간 설정 (3~18개월)
- 가족 또는 지인 최대 10명 등록 → 자동 데이터 전달 가능
- 계정 자동 삭제 여부 설정
✅ 방법 ② 사망 신고 및 계정 삭제 요청 (사망 후 절차)
- 구글 고객센터 접속 → ‘사망자 계정 신고’ 페이지
- 사망증명서, 가족관계증명서, 신분증 제출
- 구글 검토 후 → 계정 삭제만 가능, 데이터 열람 불가
📌 처리 기간 및 주의사항
- 수기 검토 방식 → 평균 1~2개월 소요
- 사망자 수익 계정 정산 불가, 잔여 수익 소멸
결론: 구글은 생전 설정이 없다면 가족이 직접 사망 신고를 해야 계정 삭제 가능하며,
정보 열람은 불가능하므로 비활성 계정 관리자 설정이 강력히 권장된다.
3️⃣ 애플 사망 신고 방법: 디지털 유산 연락처와 계정 폐쇄 절차
(키워드: 애플 사망 신고, iCloud 계정 삭제, 디지털 유산 연락처)
애플은 사망자 계정을 정리하기 위해 디지털 유산 연락처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,
사전 등록이 없을 경우 가족이 계정 폐쇄만 요청할 수 있다.
특히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강력해, 데이터 열람이 거의 불가능하다.
✅ 방법 ① 디지털 유산 연락처 등록 (사망 전 설정)
- iPhone 설정 → Apple ID → 암호 및 보안
- 디지털 유산 연락처 → 가족 등록
- 접근 키 발급 및 보관
- 사망 시 가족이 접근 키 + 사망증명서 제출 → 데이터 접근 가능
✅ 방법 ② 계정 폐쇄 요청 (사망 후 절차)
- 애플 고객센터 접속 → 사망자 계정 처리 신청
- 사망증명서, 상속인 증명서, 신분증 제출
- 애플 검토 후 계정 폐쇄 → 데이터 열람 불가
📌 주의사항
- 디지털 유산 연락처 미등록 시 → 계정 삭제만 가능
- iCloud, 사진, 메모 등 데이터 복구 불가
결론: 애플 계정은 생전 디지털 유산 연락처 설정 없으면 데이터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며,
가족이 계정 폐쇄를 요청하더라도 정보 열람 없이 삭제만 가능하다.
4️⃣ 페이스북 사망 신고 절차: 추모 계정 설정과 삭제 요청
(키워드: 페이스북 추모 계정, SNS 사망 신고, 계정 삭제)
페이스북은 사망자를 위한 추모 계정 전환 기능을 제공하며,
사망 전 사전 설정이 없을 경우에도 가족이 삭제 요청 또는 추모 전환을 진행할 수 있다.
페이스북 계정은 방치될 경우 해킹·사칭 피해 위험이 크기 때문에 빠른 정리가 필요하다.
✅ 방법 ① 사망 전 설정: 추모 계정 지정
- 페이스북 로그인 → 설정 및 개인정보
- 계정 소유 및 관리 → 추모 계정 지정
- 계정 관리인 지정 or 사망 시 자동 삭제 설정
✅ 방법 ② 사망 후 삭제 요청 절차
- 페이스북 고객센터 접속 → ‘사망자 계정 신고’ 페이지
- 사망증명서, 가족 신분증 제출
- 검토 후 계정 삭제 or 추모 계정 전환
📌 주의사항
- 추모 계정 전환 시 → 콘텐츠 유지, 활동 불가
- 삭제 요청 시 → 계정 및 데이터 완전 삭제
결론: 페이스북은 사망 전 설정이 있으면 자동화된 처리 가능,
없을 경우에도 가족 요청으로 계정 삭제 가능하지만,
서류 미제출 시 계정 방치 위험이 크므로 빠른 신고가 필수다.
'디지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부터 암호화폐까지, 사망 후 자산 관리해주는 서비스 5곳 추천 (1) | 2025.04.03 |
---|---|
죽은 뒤에도 남는 자산, 전문 관리해주는 서비스 BEST 5 실전 가이드 (1) | 2025.04.02 |
사망 후 내 자산, 누가 관리해줄까? 디지털 사후 서비스 TOP 5 총정리 (1) | 2025.04.01 |
온라인에서도 사망 신고가 필요할까? 디지털 사망 절차 A to Z (0) | 2025.03.30 |
죽음 이후에도 활동 중? 가족이 사망을 증명하는 현실적인 방법 (0) | 2025.03.29 |
죽었다는 걸 어떻게 알릴까? 사망 후 계정 처리 방법 완벽 안내 (0) | 2025.03.28 |
사망 후 온라인 계정, 누가 어떻게 삭제해줄까? 절차와 대응법 (1) | 2025.03.27 |
디지털 사망 선언, 온라인 세상에서 죽음을 증명하는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3.26 |